본문 바로가기
경상권/경북

대구 미술관에서 열린 간송 조선회화 명품전(2018.8.16일)

by 요다애비 2018. 8. 17.

대구미술관에서 간송미술관의 조선회화 특별전이 9.16일까지 열리고 있습니다,

간송미술관은 일년에 2회만 문을 열기때문에 시기를 맞추기 힘들었는데

마침 대구미술관에서 명품전이 열리고 있다하여 집사람과 함께 다녀왔습니다.

휴대폰 사진 촬영은 허락되어 몇점 개재합니다.

사진은 그냥 참고하시고, 명품들을 직접 보시길 바랍니다.

 

 

 

 

 

 

 

 

 

 

 

 

▼ 미인도(보물 1973호), 신윤복(1758~?)

 

 

▼ 추림촌거(가을 숲 속의 마을), 안견(1418~?)

 

 

 

▼ 지곡송학(지곡의 소나무와 두루미), 유자미(?~1462)

 

 

 

▼ 계산청월(시냇가 산속의 나무그늘), 석경(1440~?)

 

 

▼ 귀비호접(양귀비꽃과 호랑나비), 훤원석죽(원추리꽃과 패랭이꽃), 신사임당(1504~1551)

 

 

▼ 포도, 신사임당(1504~1551)

 

 

▼ 야우한와(들소가 한가로이 누워있다), 매조문향(매화나무에 앉은 새가 향기를 맡다), 김시(1524~1593)

 

 

▼ 계산운림(계산의 구름 낀 숲풀), 이경윤(1545~1611)

 

 

▼ 기우취적(소 타고 저 불고), 이경윤(1545~1611)

 

 

▼ 추저노안(가을 물가의 갈대와 기러기), 연지백로(연밭의 백로, 보물 1985호), 이징(1581~?)

 

 

▼ 고매서작(묵은 매화나무에 앉은 상서로운 까치), 조숙(1595~1668)

 

 

▼ 비급전관(비결을 펼쳐보다), 김명국(1600경~?)

 

 

▼ 어초문답(낚시꾼과 나무꾼이 묻고 대답하다), 이명욱(1640경~?)

 

 

▼ 여산초당도(보물 1953호), 정선(1676~1759)

 

 

▼ 화적연(보물 1949호), 정선(1676~1759) 

 

 

▼ 삼부연, 정선(1676~1759)

 

 

▼ 정양사, 정선(1676~1759)

 

 

▼ 해산정, 정선(1676~1759)

 

 

▼ 시화환상각(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 보다, 보물 1950호), 정선(1676~1759)

 

 

▼ 독서여가(글 읽다 남은 겨를), 정선(1676~1759)

 

 

▼ 장안연우(서울 장안의 안개비), 정선(1676~1759)

 

 

▼ 목면조돈(목면산에서 아침 해 돋아 오르다), 정선(1676~1759)

 

 

▼ 서과투서(수박과 도둑쥐), 정선(1676~1759)

 

 

▼ 과전전계(외밭의 참개구리), 정선(1676~1759)

 

 

▼ 홍료추선(여뀌와 매미), 정선(1676~1759)

 

 

▼ 추일한묘(가을날 한가로운 고양이), 정선(1676~1759)

 

 

▼ 촌가여행(시골집 요자가 하는 일), 조영석(1686~1761)

 

 

▼ 노승헐각(노승이 다리를 쉬다), 조영석(1686~1761)

 

 

▼ 노승휴장(노승이 지팡이를 짚고 가다), 조영석(1686~1761)

 

 

▼ 현이도, 조영석(1686~1761)

 

 

▼ 풍악내산총람(풍악내산을 총괄해 살펴보다), 정선(1676~1759)

 

 

▼ 매월만정(매화와 달이 뜰에 가득하다), 심사정(1707~1769)

 

 

▼ 포도이숙(포도가 이미 억었다), 심사정(1707~1769)

 

 

▼ 노응탐치(성난 매가 꿩을 노려본다), 심사정(1707~1769)

 

 

 

▼ 어약영일(물고기가 뛰어 해를 맞이하다), 심사정(1707~1769)

 

 

 

 

 

 

 

 

 

 

 

 

 

 

 

 

 

 

 

 

 

 

 

 

 

 

 

 

 

 

 

 

 

 

 

 

 

▼ 은선대, 이인상(1710~1760)

 

 

▼ 석림모옥(바위 숲속의 초가집), 최북(1712~1786)

 

 

▼ 옥류동, 이인상(1710~1760)

 

 

▼ 소림모옥(성긴 숲속의 띠풀 집), 강세황(1713~1791)

 

 

▼ 해응영일(바다매가 해를 맞이하다), 정홍래(1720~?)

 

 

▼ 모구양자(어미개가 새끼를 기르다), 김홍도(1745~1806)

 

 

▼ 자웅장추(암수탉이 병아리를 거느리다), 변상벽(1730~1775)

 

 

▼ 황묘농접(노란 고양이가 나비를 놀리다), 김홍도(1745~1806)

 

 

▼ 야수압영(들물에 오리가 헤엄치다), 김홍도(1745~1806)

 

 

▼ 조탁연실(새가 연밥을 쪼다), 김홍도(1745~1806)

 

 

▼ 국추비순(국화 핀 가을에 살찐 메추라기), 김홍도(1745~1806)


치희조춘(꿩이 이른 봄을 희롱하다), 김홍도(1745~1806)

 

▼ 환선정, 김홍도(1745~1806)

 

 

▼ 명연담, 김홍도(1745~1806)

 

 

▼ 현종암, 김홍도(1745~1806)

 

 

▼ 구룡연, 김홍도(1745~1806)

 

 

▼ 마상청앵(말 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다), 김홍도(1745~1806)

 

 

▼ 과로도기(장과노인이 거꾸로 타다, 보물 1972호), 김홍도(1745~1806)

 

 

▼ 절로도해(갈대를 꺽어 타고 바다를 건너다), 김홍도(1745~1806)

 

 

▼ 무이귀도(무이산으로 노 저어 돌아가다, 보물 1971호), 김홍도(1745~1806)

 

 

▼ 서호방학(서호에서 두루미를 풀어놓다), 김홍도(1745~1806)

 

 

▼ 황정환아(황정경을 거위와 바꾸다), 김홍도(1745~1806)

 

 

▼ 오류귀장(오류선생이 농장으로 돌아오다), 김홍도(1745~1806)

 

 

▼ 산촌우여(산촌에 비 그치다), 이인문(1745~1824)

 

 

▼ 산촌설제(산촌에 눈 개다), 이인문(1745~1824)

 

 

▼ 목양취소(양 치며 단소 불다), 이인문(1745~1824)

 

 

▼ 선동전약(선동이 약을 달이다), 이인문(1745~1824)

 

 

▼ 추수타작(가을 걷이 타작), 김득신(1754~1822)

 

 

▼ 야묘도추(들고양이 병아리를 훔치다, 보물1987호), 김득신(1754~1822)

 

 

▼ 성하직구(한여름 짚신삼기), 김득신(1754~1822)

 

 

▼ 춘산귀우(봄 산에 소 몰고 돌아가다), 김득신(1754~1822)

 

 

 

 

 

 

 

 

 

 

 

 

 

 

 

 

▼ 적설만산(쌓인 눈 산 덮다, 보물 1983호), 김정희(1786~1856)

 

 

▼ 세외선향(세상 밖의 신선 향기), 김정희(1786~1856)

 

 

▼ 난이추방(난이 가을을 맞아 더욱 향기롭다), 이하응(1820~1898)

 

 

▼ 동심지란(같은 마음의 난), 이하응(1820~1898)

 

 

▼ 노죽(이슬 젓은 대), 조화룡(1789~1866)

 

 

▼ 통죽, 조화룡(1789~1866)

 

 

▼ 홍매(붉은 매화), 조화룡(1789~1866)

 

 

▼ 홍매(붉은 매화), 조화룡(1789~1866)

 

 

▼ 송계한담(시냇가 솔밭에서 한담을 나누다), 김수철(1800~1862경)

 

 

▼ 강호한거(강과 호수에 한가로이 살다), 이한철(1812~1889)

 

 

 석림강정(돌이 수풀을 이룬 강가 정자), 전기(1825~1854)

 

 

▼ 편주척서(조각배가 더위를 씻다), 허유(1809~1892)

 

 

▼ 관매순학(매화를 감상하고 학을 길들이다), 안중식(1861~1919)

 

 

▼ 송관담락(조송설과 관도승이 풍류를 즐기다), 조석진(1853~1920

 

 

▼ 휴기동산(기녀를 데리고 동산에 오르다), 조석진(1853~1920)

 

 

▼ 조산루상월(조산루에서 달과 마시다), 유숙(1827~1873)

 

 

▼ 석란(돌과 난), 김응원(1855~1921)

 

 

▼ 풍우죽(비바람 맞은 대), 민영익(1860~19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