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둘레길/DMZ 평화의 길18 <원정 4차>DMZ 평화의길 7코스에서 들렀던 반구정,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2025.4.22일) DMZ 평화의길 7코스를 걸으며 들렀던 황희정스의 반구정과 임진각 평화누리공원의 사진을 별도로 게시합니다. ▼ 소명재(昭明齋) 유구(悠久)한 역사(歷史)가 흐르고 시대(時代)가 바뀌어도 변함없이 유유(悠悠)이 흐르는 임진강변 (臨津江邊) 기암절벽(寄巖絕壁) 위에 조선조(朝鮮朝) 명재상(名宰相) 이신 익성공방촌황희(翼成公厖村黃喜) 선생이 관직(官職)에서 물러나 갈매기를 벗 삼아 만년(晚年)을 즐긴 반구정(伴鷗亭)과 영정(影幀)을 모신 영당(影堂), 그리고 선생(先生)의 현손(玄孫)이시며 예조판서(禮曹判書),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 여러 관직을 역임(歷任)하신 소양공월헌황맹헌(昭襄公月軒黃孟獻) 선생의 부조묘(不桃廟)가 안치(安置)되어 있는 이곳 파주시 문산읍 사목리 일.. 2025. 4. 24. <원정 4차>DMZ 평화의길 7코스 [파주] 낙하 IC ~ 임진강역 (2025.4.22일) DMZ 평화의길 5코스와 6코스를 걷는 중 내리던 비는 그칠 기미 없이 계속 내립니다.낙하 IC 인근 식당에서 아침 겸 점심을 먹고 다시 7코스를 출발합니다. DMZ 평화의길 7코스는 낙하 IC에서 임진강역까지 12.1Km를 걷는 구간으로, 황희정성이 세웠다는 반구정과 평화관광지인 임진각을 볼 수 있는 구간입니다.코스 초반 자유로변을 걷다가 문산읍내로 진입하였고, 코스 중반은 주로 읍 외곽지역의 얕은 산을 오르내리며 지났고, 코스 종반에는 한강변에 있는 반구정에 도착하여 구경을 하고 다시 자유로를 따라 걷다가 임진강역에 도착하게 되는 코스입니다.코스 종점에 있는 임진각평화누리공원은 볼거리가 많았지만, 간단히 둘러보고 부산으로 귀가하였습니다. ☞ 아래 DMZ 평화의길 소개는 두루누비 홈피에서 퍼옴 ♧ .. 2025. 4. 24. <원정 4차>DMZ 평화의길 6코스 [파주] 통일동산 ~ 낙하 IC (2025.4.22일) 오전 7시 20분경, 성동사거리 통일관광특구 홍보판 옆에서 5코스에 이어서 6코스를 걷기 시작하였습니다.DMZ 평화의길 6코스는 통일동산에서 낙하 IC까지 10.9KM를 걷는 구간입니다. 이 구간 초반에 프로방스마을을 들렀는데, 너무 이른 아침이라 문을 연 가게가 없었고, 예쁘게 꾸민 가게들을 볼 수 없어 아쉬웠습니다. 이후에는 대부분 자유로 옆 도로를 따라 걸으며 만우리 들판과 마을들을 바라보며 걸었고, 이어서 만우천을 건너 오금리 들판을 지나서 낙하 IC까지 빗속을 걸었습니다. 코스 중간중간에 Cafe가 있어서 따뜻한 커피라도 한 잔 하고 싶었지만 가야 할 길이 멀어 그냥 지나쳐야 했습니다... ☞ 아래 DMZ 평화의길 소개는 두루누비 홈피에서 퍼옴 ♧ 코스개요- 통일동산에서 낙하 IC까지 이어지.. 2025. 4. 24. <원정 4차>DMZ 평화의길 5코스② [파주] 송천교 ~ 낙하 IC (2025.4.22일) DMZ 평화의길 4차 원정은 5코스 종반부 5.4Km와 6코스 10.9Km와 7코스 12.1Km를 완주하였습니다.며칠 전부터 전국적으로 비 예보가 있었는데, 4월 22일 새벽 5시경에 파주 송촌교에 도착하니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온종일 비를 맞으며 걸을 각오로 DMZ 평화의길을 걷기 시작하였습니다.DMZ 평화의길 5코스는 고양종합운동장에서 통일동산까지 20.7Km를 걷는 구간이지만 지난 4월 8일에 송촌교에서 고양종합운동장까지 역방향으로 걸었기 때문에 오늘은 걷지 않은 송촌교에서 통일동산까지 5.4Km를 정방향으로 걸었습니다.이 구간은 자유로와 필승로 옆을 걷다가 검단사 입구부터 산길을 따라 통일동산 쪽으로 하산하였으며, 통일동산을 지나서 성동사거리 옆 통일동산관광특구에서 걷기를 종료하였습니다... 2025. 4. 24. <원정 3차>DMZ 평화의길 지선 4-1코스 행주산성(2025.4.8일) DMZ 평화의길 지선 4-1코스 중 행주산성 누리길 기록은 이곳에서 별도로 게시합니다. ▼ 고양 행주산성 역사공원 옆 계단을 오르면 행주산성 둘레길로 어어집니다. ▼ 행주산성 돌탑이야기 이야기와 함께하는 행주산성누리길 한강하구 남북분단의 상징인 군(軍) 철책 철거 후 현재의 쌈지공원을 조성하면서 임진왜란 기간 중 행주산성 전투 시에 쓰였을 법한 크고 작은 돌들이 유난히 많아 나와 돌탑을 쌓아 보전하게 되었다. ▼ 고양의 독립운동 유적지 장효근 선생 생가 동암 장효근 선생(1867~1946)은 「제국신문」, 「만세보」, 「대한민보』를 창간하여 자주독립사상과 배일사상 고취에 진력하였다. 1910년 국권침탈 이후 천도교 산하 보성사에 입사하였고, 1919년 2월 27일에 3.1 독립선언서 21,0.. 2025. 4. 13. <원정 3차>DMZ 평화의길 지선 4-1코스 [고양] 종합운동장 ~ 행주산성 (2025.4.8일) DMZ 평화의길 5코스를 역방향으로 걷고 나서, 이어서 지선 4-1코스를 역방향으로 걸었습니다. DMZ 평화의길 지선 4-1코스는 행주산성에서 시작하여 고양종합운동장까지 17.7Km를 걷는 구간이며, 이 코스는 완보인증에는 지장이 없어 걷지 않아도 되는 구간이지만, 오늘은 편의상 역방향으로 완주하였습니다.지선 4-1코스의 특징은 나들라온, 장항습지생태관, 행주나루터, 행주산성 등 몇몇 곳을 제외하고는 단조롭고 평범한 길을 걷는 구간이었으며, 코스 종착지인 행주산성 둘레길을 오를 때에는 이미 30Km 이상을 걸어 피로가 쌓인 상태라서 제법 힘들었지만, 지선 4-1코스의 하이라이트인 행주산성은 구경거리가 많아 충분히 보상이 되었습니다. ※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법곳 IC까지 약 2.5Km 구간은 4코스와 중복.. 2025. 4. 13. <원정 3차>DMZ평화의길 5코스① 역방향 [파주] 송천교 ~ [고양] 종합운동장 - 2025.4.8일 DMZ 평화의길 3차 원정은 5코스의 일부와 지선 4-1코스를 걸었습니다. 지선 4-1코스는 걷지 않아도 완주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이왕 도전에 나선김에 포함하여 걷습니다. 오늘 걷는 거리는 5코스 전체 20.7km 중 약 16.8km와 지선 코스인 4-1코스 17.7Km를 완주하여 총 34.5Km를 역방향으로 걸었습니다. DMZ 평화의길 5코스는 고양종합운동장에서 통일동산까지 20.7Km 구간이며 오늘은 통일동산에서 5.4Km 못 미쳐 송촌교에서부터 역방향으로 걷습니다. 송촌교에서 파주출판단지까지는 해 뜰 무렵 한강변의 자유로를 옆 마을 길들을 걸었으며, 파주출판단지를 지나 심학산둘레길 가는 길에는 음식점과 cafe 등이 많이 보이더군요, 심학산둘레길은 봄을 맞이하는 진달래, 개나리 등이 피고 있었고.. 2025. 4. 13. <원정 2차>DMZ 평화의길 4코스 [김포]전류리 포구~[고양]법곳 IC - 2025.3.18일 오전 10시경 DMZ 평화의길 3코스를 종료하고 4코스를 이어서 걷습니다.전류리 포구에 식당이 있어 그곳에서 아침 겸 점심을 먹고 다시 출발하였습니다.3코스 때는 눈의 세상을 걸었다면, 4코스는 눈없는 평범한 겨울을 걷습니다. 하루에 두 종류의 세상을 경험한 흔치 않은 날입니다. 4코스는 전류리 포구에서 고양종합운동장까지 약 15.2Km를 걷는 구간이지만 오늘은 법곳 IC(13.1Km 지점)까지만 걸었습니다. 법곳 IC에서 고양종합운동장까지 약 2.5Km는 4-1코스(지선)와 중복 구간이기 때문에 4-1코스(지선)를 걸을 때 걸을 예정입니다.DMZ 평화의길 4코스는 전류리 포구에서 시작하여 김포한강야생조류공원과 일산대교를 건너 고양시로 넘어가는 구간이며, 김포한강야생조류공원은 아기자기하게 잘 가꾸어져 .. 2025. 3. 20. <원정 2차>DMZ 평화의길 3코스 [김포]애기봉 입구 ~ 전류리 포구 - 2025.3.18일 DMZ 평화의길 2차 원정은 3코스와 4코스의 법곳 IC까지 약 30Km를 걷는 일정입니다일기예보에는 약간의 눈이 예보되었는데, 현지에 도착하니 눈이 가득 쌓여 있고, 폭설이 내리고 있었습니다.3코스를 걷을 때는 하얀 눈세상을 걸었는데, 4코스를 걸을 때는 언제 눈이 왔냐는 듯, 하루에 두 계절을 접하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DMZ 평화의길 3코스는 애기봉 입구에서 전류리포구까지 16.7Km를 걷는 구간입니다이 구간은 김포 하성면의 들판과 군사접경지역의 철조망 주변을 걷는 구간으로써, 거의 평지여서 걷기는 아주 좋았습니다. 부산 촌놈이 눈보라 속에서 눈 위를 맘껏 걸어보는 경험을 하였던, 기억에 남을 코스였습니다. ☞ 아래 DMZ 평화의길 소개는 두루누비 홈피에서 퍼옴 ♧ 코스개요 - 애기봉 입구에서 .. 2025. 3. 20. <원정 1차>DMZ 평화의길 1코스[김포]문수산 남문입구-[강화]강화평화전망대 (2025.3.4일) 드디어 코리아둘레길 전 구간을 완주할 마지막 여정인 강화도 평화전망대에서 강원도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35개 코스 510Km의 DMZ 평화의길 1회 차 첫발을 디뎠습니다. 우리나라 남단 동쪽 끝자락의 부산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먼 최북단 지역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전 일정을 무박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이번에 도전하는 DMZ 평화의길은 산악회나 여행사를 이용하지 않고, 작년에 서해랑길을 완주하였던 분들과 DMZ 완주를 목표로 하는 28명의 회원이 동참하여 직접 차량을 수배하였고 필요경비는 1/n로 운영하여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며, 월 2회 출정하고 한 번에 2개 코스를 걸어서 총 18회 만에 완주할 예정입니다.그리고 DMZ 평화의길은 34개 본선외에 1개의 지선과 13개 우회로가 있는데, 특별한 사정이.. 2025. 3. 6. <원정 1차>DMZ 평화의길 2코스[김포]애기봉 입구-문수산성 남문 (2025.3.4일) 드디어 코리아둘레길 전 구간을 완주할 마지막 여정인 강화도 평화전망대에서 강원도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35개 코스 510Km의 DMZ 평화의길 1회 차 첫발을 디뎠습니다. 우리나라 남단 동쪽 끝자락의 부산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먼 최북단 지역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전 일정을 무박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이번에 도전하는 DMZ 평화의길은 산악회나 여행사를 이용하지 않고, 작년에 서해랑길을 완주하였던 분들과 DMZ 완주를 목표로 하는 28명의 회원이 동참하여 직접 차량을 수배하였고 필요경비는 1/n로 운영하여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며, 월 2회 출정하고 한 번에 2개 코스를 걸어서 총 18회 만에 완주할 예정입니다.그리고 DMZ 평화의길은 34개 본선외에 1개의 지선과 13개 우회로가 있는데, 특별한 사정이.. 2025. 3. 6. 2023 DMZ 자유평화대장정 (7일차 - 고성) -2023.10.29일 강원도 고성 금강산콘도에서 '2023 DMZ 자유평화대장정' 마지막 일정을 시작합니다. 6시 38분 일출시간에 맞춰서 조금은 아쉬운 일출을 보았고, 이어서 금강선 콘도에서 명파해변까지 마지막날 행군을 하였습니다. 이후 차량으로 제진검문소를 통과하여 고성통일전망대 도착하여 그곳에서 해단식을 하였습니다. 6박 7일의 길지 않은 시간에 강화 평화전망대에서 고성통일전망대 524Km 전 구간을 걸은 것은 아니지만, 지역별로 대표적인 구간을 걸으며 자유와 평화의 소중함과 이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느꼈으며, 이 아름다운 곳을 걷는 행운을 누렸습니다. 앞으로 524Km 전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라고 하니 그때는 강원도 고성에서 시작하여 강화도까지 완주하는 기쁨도 누려 보고자 합니다. 이번 행사를 주관한 .. 2023. 10. 31. 2023 DMZ 자유평화대장정 (6일차 - 인제) -2023.10.28일 만해마을의 붉게 물든 단풍과 함께 6일차 일정을 시작합니다. 오늘 대장정 코스는 만해마을에서 용대삼거리까지 행군 후에 용대삼거리 황탯국 맛집에서 점심을 먹고, 차량으로 흘2리안심회관으로 이동한 후 그곳부터 소똥령임도를 거쳐 소똥령마을까지 걸었습니다. 흘2리안심회관에서 소똥령마을까지는 거의 내리막이고 온 산이 단풍으로 물들어 환상적인 풍경을 보았습니다. 행군 후에 소똥령마을에서 차량 탑승하여 고성 금강산콘도에 도착하여 그곳에서 마지막 밤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우리들의 밤' 시상식에서 제가 속한 조(7조)가 전체 1등을 하여 조원(10명) 모두 의미 있는 선물을 받는 기쁨도 누렸습니다. [오늘의 일정] • 코스: 만해마을→ 용대삼거리→ 진부령미술관→ 흘리안심회관→ 소똥령임도→ 소똥령마을 • 점심: 황탯국 .. 2023. 10. 31. 2023 DMZ 자유평화대장정 (5일차 - 양구) -2023.10.27일 화천 농촌체험마을에서 4일차를 보내고, 차량으로 양구로 이동하여 금강산 가는 길 이목정 안내소에 도착하였습니다. 5일차는 이목정에서 시작하여 두타연과 하야교를 거쳐 비득검문소까지 대장정을 진행하였고, 건문소 옆 주차장에서 주먹밥을 먹고 이어서 차량으로 이동하며 피의 능선 전투전적비와 양구 통일관을 둘러본 후 인제군의 동국대학교 만해마을에서 하룻밤을 묵었습니다. 강원도로 올수록 단풍이 더욱 짙게 물든 풍경을 볼 수 있더군요 [5일 차 일정] 코스 : 금강산 가는 길(이목정) 안내소 → 두타연 → 하야교 → 비득검문소 → 피의능선 전투전적비 → 정자문 교차로 → 만해마을 숙소 : 동국대학교 만해마을 ▼ 양구 농촌체험캠프에서 5일 차를 시작합니다 ▼ 아침에 지게마을을 잠깐 둘러봅니다. ▼ 은행잎이 노랗게 물들.. 2023. 10. 31. 2023 DMZ 자유평화대장정 (4일차 - 화천) -2023.10.26일 4일차는 철원 병영체험관에서 차량을 이용 화천대교 옆 화천체육관으로 이동 후, 화천 구간의 대장정을 시작하였습니다. 이 구간은 대부분 북한강변을 걷는 구간으로써 숲으로 다리와 살랑교, 꺼먹다리 등을 지나서 딴산유원지까지 걸었으며, 이후 딴산유원지에서 차량으로 평화의 댐으로 이동, 평화의 댐을 구경하고 다시 차량으로 청춘양구농촌체험캠프까지 이동 후 그곳에서 숙박을 하였습니다 [4일차 일정] 코스 : 위라리 원시림 숲길 → 숲으로 다리 → 살랑교 → 꺼먹다리 → 딴산유원지 → 안동포초소 → 안동철교 → 평화의 댐 숙소 : 청춘양구농촌체험캠프 ▼ 4일차 아침을 철원군병영체험수련원에서 맞이합니다... ▼ 철원 병영체험수련원에서 차량을 이용, 화천체육관 근처에서 하차, 이곳에서 4일차 대장정을 시작하였습니다. ▼.. 2023. 10. 31. 2023 DMZ자유평화대장정 (3일차 - 철원)-2023.10.25일 3일차는 철원의 노동당사, 도피안사, 학저수지, DMZ 두루미평화타운 등을 둘러보는 일정입니다. 개인적으로 철원 하면 아련한 기억이 떠 오르기도 합니다. 2011년 아들이 철원에서 군대 이등병 시절 첫 면회 왔을 때, 1박 2일 면박 후에 위병소에서 군 막사로 홀로 들어가는 아들의 뒷모습을 보고 눈시울을 적셨던 기억이 지금도 아련하네요... [3일차 일정] • 코스: 노동당사→ 도피안사→ 학저수지→ DMZ두루미평화타운 • 숙소: 철원군병영체험수련원 • 저녁 프로그램: 영화(고지전) 감상 ▼ 철원군 병영체험수련원에서 일과 시작 ▼ 수련원에 물든 단풍 ▼ 수련원의 야외 시설물 ▼ 철원군병영체험수련원에서 철원역사문화공원으로 이동 및 관람 ▼ 노동당사를 바라보고... 노동당사는 리모델링 중으로 내부관람 불가 ▼.. 2023. 10. 31. 2023 DMZ자유평화대장정 (2일차 - 연천) - 2023.10.24일 연천군 백학평화안보교육원에서 2일차 일정을 시작하였습니다. 2일차 주요 경유지는 연천 동이리의 임진강 주상절리를 구경하고, 임진물새롬랜드에서 점심을 먹은 후 군남댐홍수조절지까지 걷는 일정이며, 철원으로 이동하여 병영체험수련원에서 숙박하였습니다. [2일차 일정] ▶ 연천 동이리 ~ 주상절리 ~ 임진물새롬랜드 ~ 군남댐홍수조절지 ▶ 숙소 : 철원군 병영체험수련원 ▼ 백학평화안보교육원 ▼ 동이리까지 차량이동 후 임진강으로... ▼ 동이대교를 바라보며... ▼ 임진강변 주상절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안내판 ▷ 임진강 주상절리 : 임진강 주상절리는 한탄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합수머리에서 임진강 상류 쪽에 위치한다. 한탄강 지질공원의 가장 큰 특징인 현무암 주상절리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으로 높이 25.. 2023. 10. 31. 2023 DMZ자유평화대장정 (1일차 - 파주) - 2023.10.23일 2023 DMZ자유평화대장정(4기) 참가자로 선발되어 10월 23일 ~ 10월 29일(6박 7일)까지 DMZ 평화의 길을 걷는 행운을 누렸습니다.DMZ 자유평화대장정 행사는 정전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DMZ의 가치에 대한 공감을 확산하고 대한민국 최북단 도보길의 생태, 문화, 역사를 배우기 위해 기획했다고 하며, 통일부의 지원을 받아 '사단법인 디엠지 평화누리 길만사'가 운영하였습니다.[1일차 일정]▶ 집합 : 09:40분 합정역 9번 출구▶ 출발 : 김포 애기봉평화생태공원 ~ 애기봉 조강전망대(출정식) ~ 가금리 ~ (사암리 ~ 후평리 ~ 전류리 포구)... 가금리 이후 단축▶ 숙박 : 연천군 백학평화안보교육원 ▼ 애기봉평화생태공원에서 원정대 단복으로 환복 ▼ 조강전망대로 이동 ▼ 흔들.. 2023. 10.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