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권

동래읍성 뿌리길(얼쑤옛길 1~2코스) ② - 2024.1.27일

by 요다애비 2024. 2. 2.

동래읍성 뿌리길을 이어서 걷습니다.

①편에서는 동래부동헌 ~ 장군청 ~ 송공단 ~ 박차정생가~ 충렬사에 대하여 설명드렸고, 

②편에서는 인생문 ~ 복천동 고분군 ~ 북장대 ~ 동래읍성 북문 ~ 장영실 과학동산 ~ 서장대 ~ 동래향교 순으로 이어서 걸었습니다.

 

※ 문화재 설명은 주로 동래구청 홈피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동래읍성 뿌리길 기록>

 

 


▼ 충렬사와 동래화목타운아파트 사이 언덕을 넘어 복천동 고분군 쪽으로...

 


학산여고

 


▼ 동래읍성 도서관

 

 
 
인생문
동장대에서 인생문으로 가는 길에 들어서면 학산여중과 학산여고가 보이고 언덕 위 뚝방길이 나타난다. 이곳은 계절만 잘 만나면 치자꽃 향기가 가득한 아름다운 꽃길로 변하곤 한다.
그리고 곧 인생문(人生門)이 나온다. 인생문에는 크게 2가지 설이 있는데, 왜란 때 이 문 방향으로 빠져나온 사람이 모두 목숨을 건져 ‘사람을 살린 문’이란 뜻으로 불렸다고 한다. 평소 성내에서 시신이 운구되던 문으로 인생무상(人生無常)을 느끼게 하는 문이라는 설도 있다.
아무튼 인생무상을 실감하며 도로를 건너면 이제부터 완만하고 아름다운 숲길이 나온다. 푸르고 빽빽한 숲이 맑은 공기와 함께 우리를 맞아 준다.
 

 

 


▼  부산 복천동고분군 야외전시장

     복천동고분군은 6세기 이전 부산 유일의 지배층 무덤으로, 가야 문화의 번성과 신라로의 편입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유적이다. 복천동고분군은 동래 중심지 북쪽의 마안산에서 남서로 길고 완만하게 뻗어 내린 구릉에 위치한다. 현재 고분 공원으로 조성된 범위는 대략 남북 300m, 폭 100~120m가량이지만, 원래는 현 법륜사까지 약 700m가량 완만히 이어진 구릉이었을 것이다. <복천박물관 홈피에서 발췌>

 



▼ 복천박물관
    복천박물관은 복천동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삼한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부산의 역사를 보여주는 고고전문박물관으로 1996년 10월 5일에 개관했다. 8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하여 출토된 각종 토기 및 철기류 등의 유물을 종합 전시하였다. 사적 제273호로 지정된 복천동고분군에서 출토된 풍부한 유물과 다양한 무덤 양식들은 아직 미지의 왕국으로 남아있는 가야의 신비를 푸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웃 일본 고대문화의 원류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도 평가되고 있다. 또한 복천박물관은 개관 이후로도 인근지역의 매장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여 부산의 역사와 문화, 나아가 가야사의 실체를 규명해 나가고 있다. 지속적으로 축적된 연구성과를 다양한 학술세미나 및 특별전을 통해 전문가와 시민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역사교육장으로서의 역할에도 내실을 기하고 있다. <복천박물관 홈피에서 발췌>

 

 

 


▼ 3.1 독일운동 기념탑으로 가면서 동래구를 내려다보고..

 

 
 
▼ 부산 3·1 독립운동기념탑
    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 1995년 8월 15일 착공하여 1996년 3월 1일 완공된 기념탑으로 부산지역의 3.1 운동의 역사와 정신을 후대에 계승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기념탑은 상징탑과 내부 조형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징탑은 21.6m의 높이로 솟아있고 내부 조형탑은 선열들의 독립운동 정신을 천장의 8괘 마당은 결집하는 민족정기를 표현하고 있다. 기념탑에는 부산 3.1 독립운동기념탑 건립취지문과 부산 3.1 운동 약사·기미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도 새겨져 있다
 

 

 

▼ 동래읍성지

    동래읍성지는 동장대가 있는 충렬사 뒷산에서 마안산을 거쳐 서장대가 있는 동래향교 뒷산까지의 구릉지와 현재 동래 시가지 중심지역인 평지를 일부 포함하는 지세에 전형적인 평산성(平山城) 형식으로 축조되어 산성과 평지성의 장점을 두루 갖춘 대표적인 읍성이다.
고려 말 우왕 13년(1387)에 수축(修築)된 것으로 보이는 동래읍성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래부사 송상현 공을 위시한 모든 군관민이 혼연일체가 되어 장렬한 전투를 벌였던 임란초기의 최대 격전지이다. 임란 이후 부분 보수되어 온 성을 1731년(영조 7) 동래부사 정언섭(鄭彦燮)이 나라의 관문인 동래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과거의 성보다 훨씬 규모가 크게 고쳐 쌓았는데, 이 성이 현재 흔적으로 남아있는 읍성의 기원이다.
읍성에는 동문, 서문, 남문, 북문, 인생문(人生門) 및 암문(暗門)이 있고 각 문에는 문루(門樓)가 있었는데, 동문에는 지희루(志喜樓), 서문에는 심성루(心成樓), 남문에는 무우루(無憂樓), 암문에는 은일루(隱一樓)가 있었다. 또 중요한 문루였던 남문에는 익성(翼城)을 두고, 문은 앞의 세병문(洗兵門)과 뒤의 주조문(朱鳥門)이 있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었다. 서문·동문·북문 등 다른 문에는 성문 보호를 위해 옹성을 부설하였고, 장대, 망루 및 15개소의 보루를 갖추고 있었다. 일제 때 <시가지계획>이라는 명목으로 서문에서 남문에 이르는 평지의 성벽은 철거되었으며, 남문에서 동문에 이르는 성벽도 민가가 점유하여 마안산을 중심으로 한 산지에만 성곽의 모습이 겨우 남아 있을 뿐이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현존하는 성지(城址)를 중심으로 훼손·방치되었거나 유지(遺址)가 확인되는 곳을 보수·복원하고 있고, 동래구에서는 남문(충렬대로에서 동래시장 진입로 입구), 서문(KT동래지사 옆), 동문(동래고교 정문 앞), 암문(동래구청 맞은편)의 옛터에 표석을 세워 문화유적지의 원위치를 보존하며, 교육적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북장대

    동래읍성의 북쪽 장대이다. 마안산(馬鞍山)의 꼭대기에 자리하고 있으며, 따라서 동래읍성에서 가장 높은 고지를 점하고 있는 장대이다. 북문에서부터 인생문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를 통해 오를 수 있다.

 

 

 

▼ 장영실 과학동산

    동래출신 조선시대 세종당시 최고의 과학자인 장영실이 만든 세계최고의 옛 천문의기 18종 19점을 동래읍성북문광장 1,177㎡에 시비 5억을 투입하여 2009. 6. 16.부터 2009.10.15. 까지 4개월에 걸쳐 사업을 완료하였다.
주요 복원의 기로는 북문 앞 광장에는 북두칠성을 주제로 혼상과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 혼천의, 앙부일구, 일성정시의, 현주일구, 풍기대, 수표, 선화당, 관상감, 창덕궁 측우기 등 11종을 배치했고, 혼상 좌 ․ 우측에 동·서양 해시계 2종을, 역사관에서 북문의 통행로 주변에는 세종대왕기념관 일구대, 평면해시계, 신법지평일구 등 5종을 현장조사, 제작, 설치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동래구의 위도와 경도에 맞게 설치했다.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2009년 10월 7일에 부산과학기술협의회와 우리구가 협약서를 체결하여 2009년 11월부터 과학문화해설사들을 배치함으로써 천문의기들의 원리와 의미에 대하여 전문적인 해설을 제공하고 있다.

 

 

 

▼ 동래읍성 성곽을 지나가며...

 

 

 

▼ 서장대

    동래읍성의 서쪽 장대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건물로, 모습은 꼭 수원 화성의 서장대를 닮았다. 1734년 동래부사 최명상(崔命相)이 세운 15개 보루 중 하나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기록에는 1870년 동래부사 정현덕(鄭顯德)이 세웠다고 전한다. 1937년 동래읍성과 함께 철거되고 방치되다가 1979년 첫 복원사업 당시에 북문, 동장대, 북장대와 함께 복원되었다.

 

 

 

▼ 암문을 지나서...

 

 

 

▼ 가파른 내리막길...

 

 

 

▼ 마한산 자비암

 

 

 

▼ 동래향교

     동래향교(東萊鄕校)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향교이다. 2013년 5월 8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1호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조선시대 지방재정에 의해 설치·운영된 공립 중등학교격인 교육기관으로 성현(聖賢)을 제사 지내는 제향(祭享) 기능, 유생에게 유학을 교육하는 교학(敎學) 기능과 함께 지방의 문화향상 등 사회교화 기능도 갖고 있었다.

1392년(태조 원년) 나라에서 교육진흥책을 위해 지방에 향교를 설립함에 따라 동래에도 동래향교가 설립되었다고 생각되나, 임진왜란 때 동래성 함락과 함께 불타버렸다. 1605년(선조 38) 동래부사 홍준(洪遵)이 재건한 이후 여러 차례 옮겼다가 1813년(순조 13) 현재의 위치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규정에 의하면, 동래부가 되었을 때 동래향교에는 종 6품의 교수 1명과 학생 70명이 있으며, 향교의 유지와 관리를 위해 학전(學田) 7결(結)이 지급되었다. 향교의 건물구조는 명륜당(明倫堂)을 중심으로 반화루(攀化樓), 동재(東齋), 서재(西齋)로 구성된 강학공간(講學空間)과 대성전(大成殿)을 중심으로 동무, 서무와 내·외삼문, 사주문으로 구성된 제향공간(祭享空間)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자(孔子) 이하 중국의 저명한 유현(儒賢) 7분과 우리나라의 유현 18분을 모시고 있는 대성전에서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유림(儒林)들에 의해 석전대제(釋奠大祭)가 봉행되고 있다

 

 

☞ 동래향교 관람을 마치고 동래시장 근처의 곰장어집으로 Go Go...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