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리아둘레길/DMZ 평화의 길

DMZ 평화의길 2코스[김포]애기봉 입구-문수산성 남문 (2025.3.4일)

by 요다애비 2025. 3. 6.

드디어 코리아둘레길 전 구간을 완주할 마지막 여정인 강화도 평화전망대에서 강원도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35개 코스 510Km의 DMZ 평화의길 1회 차 첫발을 디뎠습니다.
 
우리나라 남단 동쪽 끝자락의 부산에서 지리적으로 가장 먼 최북단 지역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전 일정을 무박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에 도전하는 DMZ 평화의길은 산악회나 여행사를 이용하지 않고, 작년에 서해랑길을 완주하였던 분들과 DMZ 완주를 목표로 하는 28명의 회원이 동참하여 직접 차량을 수배하였고 필요경비는 1/n로 운영하여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며, 월 2회 출정하고 한 번에 2개 코스를 걸어서 총 18회 만에 완주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DMZ 평화의길은 34개 본선외에 1개의 지선과 13개 우회로가 있는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본선과 지선을 우선으로 완주할 계획입니다.

 


 
☞ 아래 DMZ 평화의길 소개는 두루누비 홈피에서 퍼옴
 
<DMZ 평화의길> 
한반도 최고의 청정 환경을 자랑하는 DMZ를 거닐며,.
평화와 통일의 의미를 되새기는 길로써
‘DMZ 평화의 길’은 한반도의 마지막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DMZ 일대를 따라 구축한 총 35개 코스, 510km의 걷기 여행길입니다. DMZ 초입인 민간인통제선 인근에 자리한 최전방 마을, 전적지, 평야와 강, 산악 지형을 지나며 한반도 중부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고, 평화와 통일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길입니다.
DMZ 평화의 길은 자유롭게 방문 가능한 횡단노선과 투어 예약 후 방문가능한 테마노선으로 나눕니다.

 

 

 
<DMZ 평화의길 2코스 소개>
♧ 코스개요
- 문수산성 남문을 출발하여 애기봉 입구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 한강 너머 북한을 조망할 수 있는 길로 문수산을 오르는 등산로를 비롯해 숲을 지나게 된다.
관광포인트
- 조강의 생태계를 소개하고 남북평화를 기원하는 공간인 애기봉평화생태공원
- 통일을 주제로 한 3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된 김포국제조각공원
- 남북평화를 주제로 한 전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평화문화관
여행정보(주의사항)
- 가산을 오르는 것을 시작으로 시골 마을길을 따라 논밭 사이를 걷는 코스로 매점이 없어 식수 및 간식 준비 필요하다.
- 코스 내 김포 DMZ 평화쉼터(용강로250번길 104) 이용이 가능하다.
- 포토존은 문수산성 정상, 문수산성, 조강저수지, 애기봉평화생태공원 등이 있다.

※ 2코스는 대부분(문수사-애기봉 입구)이 민간인 통제구역입니다.
    시점(문수산성 남문)에서 통진성당으로 이어지는 2-1번 코스를 선택해 이용 바랍니다.


♧ 주요지점 및 편의시설
문수산성 남문~ 1.5Km ~ 문수산성 전망대 ~ 2.5Km ~ 문수사 ~ 0.7Km ~ 김포시 거점센터 ~ 3.1Km ~ 애기봉 입구 :  길이 7.8km

 
 


 <DMZ 평화의길 2코스 실제 기록>

 
DMZ 원정 첫날, 1코스의 출발점인 강화 평화전망대 출입 가능한 시간이 아침 09:00인지라, 새벽 6시경에 현지에 도착함에 따라 부득이 2코스 종점인 애기봉 입구에서 역방향으로 2코스를 먼저 걷고, 이어서 1코스도 역방향으로 완주하였습니다.
동틀 무렵 6시 40분경부터 DMZ 평화의길 2코스를 역방향으로 걷기 시작하여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 월곶면 개곡리, 조강리, 고막리, 성동리, 내포리 지역의 2개 面, 6개 里를 통과하였으며, 초반에는 얕은 야산과 농로와 조강저수지를 지났으며, 중반에는 평화의 길을 걷는 트레커들을 위한 김포시 DMZ 평화의길 거점센터도 지났고, 코스 막판에는 문수산 9부 능선에 있는 문수산성에 도착하니 눈이 내리기 시작하였으며 눈을 맞으며 문수산성 남문으로 하산하여 2코스 역방향 걷기를 완주하였습니다.
※ 두루누비 홈피에는 "2코스는 대부분(문수사-애기봉 입구)이 민간인 통제구역이고, 시점(문수산성 남문)에서 통진성당으로 이어지는 2-1번 코스를 선택해 이용 바랍니다."라고 안내되어 있으나, 실제 2코스를 걸어보니 별다른 통제구역이 없어 무난히 역방향으로 완주할 수 있었습니다.
 


 <DMZ 평화의길 2코스 3D 비디오>
 

 
 
 
▼ 오전 6시 40분, 애기봉 입구에서 DMZ 평화의길 2코스 역방향으로 출발
 



▼ DMZ 평화의길, 평화누리길, 경기둘레길 등 안내판과 스탬프함을 뒤로하고...



▼ 얕은 야산을 넘으며 평화공원로를 뒤돌아보고...
 

 
 
▼ 현 위치 개곡리... 문수산성 남문 쪽으로... 안내판이 아주 잘 설치되어 있네요
 

 
 
▼조강 2리 들판으로 진입
 

 

 
 
▼ 개화천
 

 
 
▼ 들판에 기러기 무리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네요
 

 
 
▼ 조강저수지에 도착
 

 
 
▼ DMZ 평화의길 거점센터
 

 
 
▼ 조강리 마을을 지나며...
 

 
 
▼ 조강 1리 입구 표석
 

 
 
▼ 포레스트 편의점
 

 
 
▼ 고막리 마을을 지나며...
 

 
 
▼ 문수산 등산로 초입에 거의 다 왔습니다...
 

 
 
▼ 그런대로 괜찮은 할아버지....
 

 
 
▼ 본격적으로 문수산성 쪽으로 오릅니다...
 

 
 
▼ 제법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릅니다
 

 
 
▼ 문수산길 종합안내도가 있는 곳을 지나서...
 

 

 
 
▼ 팔작정에 도착
 

 
 
▼ 안개 낀 마을을 내려다보고...
 

 
 
▼ 계단을 오릅니다...
 

 
 
▼ 계단 끝지점의 문수산성
 

 
 
▼ 눈이 나리기 시작하여 문수산 정상은 생략하고 문수산성 남문 쪽으로 하산...
 

 
 
▼ 산성이 잘 정비되어 있네요
 

 
 
▼ 산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 문수산성文殊山城의 성벽城壁
문수산성의 성벽은 서벽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인 윤곽이 확인된다. 북문에서 정상부로 향하는 지점에는 깬돌을 이용하여 세운 성벽이 13단까지 남이 있고, 정상부에서 남문 방향으로는 암석을 사각형으로 다듬어 쌓았는데 능력 구간별 차이 또는 고쳐 지은 시기별 차이를 보인다. 북문 쪽 성벽은 40~60cm 크기의 자연석과 깬돌을 수평을 맞추어 쌓았으며, 석재 사이의 틈에는 5~12cm 크기의 세기돌을 이용하였다. 남벽은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으며, 2007년 고시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 조사한 결과 기본적인 양상은 지형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9-14단, 높이 200~300mm 내외로 쌓은 것을 확인하였다. 성벽 곳곳에는 명문이 남아 있다. 명문에는 성벽 구간별 명칭과 그 구간 성벽 쌓기에 동원된 군대 이름이 적혀 있다.

 

 
 
▼ 김포 문수산성 / 金浦 文殊山城
문수산성은 강화 갑곶진과 함께 염하(김포와 강화도 사이 해협)를 통한 외세의 침입을 막고 한양 일대를 수호하기 위해 조선 숙종 20년 1894에 쌓은 산성이다.
김포에서 가장 높은 산인 문수산에 있으며(해발 376m), 전체 길이는 6,123m이다. 그중 산등성이를 연결한 4,640m가 지금까지 남아 있으며, 해안가의 1,483m는 없어졌다.
원래는 문루성곽위에 세운 누각 세 군데와 아문학은 출입문 네 군데가 있었다. 현재는 해안가 쪽 성곽과 문루는 없어지고 문수산 능선을 따라 북문, 남문, 남아문, 동아문 그리고 2017년에 복원한 장대와 성곽 등이 남아 있다.

 

 
 
▼ 강화도 쪽...
 

 
 
▼ 성동검문소 버스정류소 쪽으로...
 

 
 
▼ 등로에 눈이 쌓이기 시작하네요...
 

 
 
▼ 눈이 쌓이는 쉼터
 

 
 
▼ 눈이 내려 상동검문소 쪽으로 급히 하산합니다...
 

 
 
▼ DMZ 평화의길 02코스 인증 QR코드 앞에서 2코스 걷기 종료
 

 
 
▼ 경기둘레길 스탬프함
 

 
 
▼ 평화누리길 스탬프함
 

 
 
▼ 오전 09시 15분, 문수산에서 내려온 일행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곧바로 DMZ 평화의길 1코스를 역방향으로 걷기 시작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