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가까이서 자주 마주치다 보면 비본질적인 요소들 때문에 그 사람의 본질을 놓치기 쉽다. 아무리 좋은 사이라도 늘 한데 어울려 치대다 보면 범속해 질 수 밖에 없다. 사람과 사람 사이는 그리움과 아쉬움이 받쳐 주어야 신선감을 지속할 수 있다. 걸핏하면 전화를 걸고 자주 함께 어울리게 되면 그리움과 아쉬움이 고일 틈이 없다.
습관적인 만남은 진정한 만남이 아니다. 그것은 시장 바닥에서 스치고 지나감이나 다를 바 없다. 좋은 만남에는 향기로운 여운이 감돌아야 한다. 그 향기로운 여운으로 인해 멀리 떨어져 있어도 함께 공존 할 수 있다.
사람이 향기로운 여운을 지니려면 주어진 시간을 값없는 일에 낭비해서는 안 된다. 탐구하는 노력을 기울여 쉬지 않고 자신의 삶을 가꾸어야 한다. 흙에 씨앗을 뿌려 채소를 가꾸듯 자신의 삶을 조심조심 가꾸어 나가야 한다. 그래야 만날때마다 새로운 향기를 주고 받는다.
~~"중략"~~~~
그렇다 사람도 얼마쯤의 거리를 두고 보아야 제대로 볼 수 있다. 너무 가까이서 대하다 보면 자신의 주관과 부수적인 것들에 가려 그의 인품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
사람이든 사물이든 또는 풍경이든 바로보는 기쁨이 따라야 한다. 너무 가까이도 아니고 너무 멀리도 아닌, 알맞은 거리에서 바라보는 은은한 기쁨이 따라야 한다.
- 아름다운 마무리(문학의 숲)에서 -
728x90
'신변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 Europe 배낭여행(2010.7.14~8.5) (0) | 2010.08.10 |
---|---|
아름다운 마무리 - 법정 (0) | 2010.06.24 |
'아름다운 마무리' 발간사 - 법정 (0) | 2010.06.22 |
운문사에 가면 - 법정 (0) | 2010.06.22 |
2009년 일출(2009.1.1일)-km 처음~ (0) | 2009.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