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 충청권/충청40

천년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덕숭총림 수덕사(2019.1.10일) 문헌으로 남아 있는 기록은 없지만, 백제 위덕왕(威德王:554~597) 때 고승 지명이 처음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제30대 왕 무왕(武王) 때 혜현(惠顯)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강설하여 이름이 높았으며, 고려 제31대 왕 공민왕 때 나옹(懶翁:혜근)이 중수하였다. 일설에는 599년(신라 진평왕 21)에 지명(智命)이 창건하고 원효(元曉)가 중수하였다고도 전한다. 조선시대 제26대 왕 고종(高宗) 2년(1865)에 만공(滿空)이 중창한 후로 선종(禪宗) 유일의 근본도량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덕사 대웅전은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봉정사 극락전(鳳停寺極樂殿, 국보 15))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 국보 18)에 이어 오래된 건축물로서 국보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대웅.. 2019. 1. 12.
낙조가 아름다운 서산 간월암(2019.1.10일)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 있는 작은 섬에 자리잡고 있으며,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창건한 암자이다. 무학이 이곳에서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는 데서 간월암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조선 초 무학대사가 작은 암자를 지어 무학사라 부르던 절이 자연 퇴락되어 폐사된 절터에 1914년 송만공 대사가 다시 세우고 간월암이라 불렀다. 이곳에서 수행하던 무학대사가 이성계에게 보낸 어리굴젓이 궁중의 진상품이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또한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굴부르기 군왕제가 매년 정월 보름날 만조시에 간월도리 어리굴젓 기념탑 앞에서 벌어진다. 법당에는 무학대사를 비롯하여 이곳에서 수도한 고승들의 인물화가 걸려 있다. 이 암자는 바닷물이 들어오면 작은 섬이 되고 물이 빠지면 길이 열린다.. 2019. 1. 12.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공세리 성당(2019.1.9일) 공세리 성당은 1890년에 시작된 126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서 깊은 성당이다. 성당이 위치한 곳은 충청도 일대에서 조선조 성종9년(1478년) 이후 영조 38년(1762년)까지 300년간 세곡을 저장하던 공세 창고로 운영되었다. 2005년에는 한국관광공사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성당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350년이 넘는 국가보호수가 4그루나 있고 그에 버금가는 오래된 거목들이 성당의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이 곳에서는 70여 편이 넘는 유명한 영화나 드라마가 촬영되었고 대표작으로는 `태극기 휘날리며` `수녀 아가다` `사랑과 야망` 등 다수가 있다. (※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차장에서 본 낮은 언덕 위의 공세리 성당 ▼ 성당오르는 길 ▼ 예수 성심상과 피정의 .. 2019. 1. 12.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만추의 공주 마곡사(2018.11.10일) 2018년 세계유산위원회는 한국 불교 문화의 총본산인 천년 산사 7곳(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였습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마곡사를 세 번째로 찾은 셈인데, 첫 번째는 2009년경 겨울 정부 경영평가에 대비하여 보고서 작성반을 운영하기 위해 템플스테이 시설을 이용하였고, 두 번째는 2014년 여름에 Wife와 공주를 여행하면서 잠깐 찾았습니다. 과거에 비하여 너무 많이 변한 느낌이고, 계절별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태화산 기슭 맑은 계곡을 끼고 위치한 마곡사는 조계종의 대전·충남지역 70여 사찰을 관장하는 대본산이며 춘마곡 추갑사(春麻谷 秋甲寺)라는 말이 전해질만큼 봄(春) 경치가 뛰어나다. .. 2018. 11. 11.
아름다운 숲길로 선정된 아산 봉곡사 천년의 숲길(2018.11.10일) 산림청과 (사)생명의 숲 국민운동본부가 2004년에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거리숲 부문 장려상으로 선정한 충남 아산의 봉곡사 숲길을 다녀왔습니다. 천안에서 봉덕사 가는 길에 미세먼지가 가득하였지만 막상 숲길에 도착하니 미세먼지를 느낄 수 없었습니다. 찾아온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700m의 한적한 소나무 숲길을 천천히 올랐습니다. 『봉곡사 주차장에서부터 봉곡사까지 약 700m에 걸쳐 있는 소나무 숲을 흔히 '천년의 숲'이라고 부르며 수년 전 산림청 주최 아름다운 거리숲 부문에서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을 정도로 아름다운 숲이다. 여기에 있는 소나무는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것으로 유명하다. 아름드리 소나무 밑동에는 한결같이 V자 모양의 흉터가 있는데 이는 일제가 패망 직전에 연료로 쓰고자 송진을 채취하.. 2018. 11. 11.
월악산국립공원의 최북단에 있는 금수산(2017.9.23일) 금수산은 월악산 국립공원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고 청풍호를 안고 있습니다. 코스는 짧은데 비하여 오르막과 내리막의 경사가 심하여 등산하기에는 힘든 산의 하나입니다 흐릿한 날씨로 전망이 좋지는 않았지만 재미있는 산행을 하였습니다. ▼ 마을앞 노송 ▼ 용담폭포 위의 선녀탕 ▼ 수량이 아쉬운 용담폭포 ▼ 용추담포 위의 선녀탕 ▼ 부부바위와 독수리바위 ▼ 부부바위와 독수리바위 ▼ 금수산 정상 ▼ 보문정사 2017. 9. 24.
충남 금산군 서대산(2016.12.10일) 100대 명산의 한 군데로써 부산에서 왕복 약 7시간의 거리에 있는 서대산에 갔다 왔습니다. 산행시간은 식사시간 포함에서 4시간 20분 정도 걸렸고, 약 1Km의 능선길을 제외하고는 정상까지의 오름길과 하산길의 내림은 급경사였습니다. 전망은 아주 좋아 덕유산, 대둔산 등도 볼 수 있었습니다. 2016. 12. 10.
속리산(화북~문장대~천왕봉~장각폭포)-2016.6.25일 약 10년 만에 속리산에 갔다 왔습니다. 오늘은 화북분소에서 문장대와 천왕봉을 거쳐 장각폭포로 하산하였습니다. 어제 비가 왔기 때문인지 산행 내내 쌀쌀할 정도의 시원하고 상쾌한 바람이 불었고, 문장대와 천왕봉 구간의 능선에는 기암괴석들이 자신의 모습을 뽐내 듯 볼거리가 가득하였습니다. ↑ 들머리 화북분소 ↑ 문장대 ↑ 멀리 보이는 천왕봉 ↑ 올해 처음 만난 잠자리 ↑ 개망초 군락지 2016. 6. 26.
한국교원대학교 교정(2015.12.13) 2016. 1. 17.
충북 보은군 법주사(2015.11.15일) 충북 오송의 한국교원대학교 가는 길에 속리산 법주사에 잠깐 들렀습니다. 법주사 들어가는 길에는 세조가 법주사 행차 때 소나무 가지를 들어 올려 무사히 지나가게 했다는 정이품송을 볼 수 있고, 법주사에는 팔상전, 쌍사자석등, 석련지 등의 국보를 비롯하여 금동미륵 입상 등과 같은 볼거리 많은 유물이 있는 사찰입니다. 11월 중순에.. 가지 부러진 정이품송의 안타까움과 가을의 끝자락을 보았습니다. 2015. 11. 17.
충북 영동군 삼도봉~석기봉~민주지산(2015.10.4일) 근 20년 만에 다시 충북 영동의 물한계곡에 갔습니다. 그때는 친구 가족들과 휴가를 갔었지만, 오늘은 민주지산이 목표입니다. 민주지산은 옛날엔 민두름산이라고 불렸다는데 한자로 표기하면서 민주지산이란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주변에는 삼도봉, 석기봉, 각호산이 있습니다. 그중 삼도봉은 백두대간 구간이며 현재는 충북 영동군, 전북 무주군, 경북 금릉군의 3도 3군을 아우르고 있고, 과거에는 백제와 신라의 경계였다고 합니다. 2015. 10. 4.
충북 괴산군 칠보산(2015.7.11일) 백산 산악회와 함께 칠보산 산행을 하였습니다. 산행코스는 길지 않았으나, 비오기 전 습도가 높아 걷기는 힘들었습니다. 그러나 계곡에 수량이 많아 알탕 하기는 아주 좋았습니다. 쌍곡계곡에서 약 한시간 가량 알탕 하며 오랜만에 여유 있는 산행을 하였습니다. 2015. 7. 12.
충북 제천 작은동산(2015.5.9일) 5.8일 공단 제천 연수원에서 기획조정실 워크숍 후 토요일 아침 작은 동산에 올랐습니다. 이름은 작은 동산이지만 초반부터 가파른 결코 작지 않은 동산이었습니다. 외솔봉을 거쳐 작은 동산까지는 청풍호수를 볼 수 있었고, 암릉도 적당히 있어 산행하기는 아주 좋았습니다. 작은 동산을 지나 상봉 아래 무쏘 바위(누운 남근석)까지 간 후 하산하였습니다. 2015. 5. 9.
충북 제천 비봉산(2015.1.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인재개발원 뒤에 있는 비봉산에 갔다 왔습니다.비봉산은 비록 해발 531m에 불과하지만 사방으로 청풍호는 물론이고 월악산 주흘산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전망이 좋았습니다. 또한 정상에는 페러글라이딩 활공장이 있었고, 겨울이라 운행은 하지 않았지만, 정상까지 올라올 수도 있는 모노레일 시설도 설치되어 있더군요. 2015. 1. 18.
제천 옥순봉, 청풍호 유람선 관광(2014.11.7일) 부 워크숍 둘째 날 옥순봉 산행과 청풍호 유람선 관광을 하고 귀가하였습니다.. (옥순봉 산행) (청풍호 유람선 관광) 2014. 11. 8.
화양계곡, 도명산(2014.9.20일) 기획조정실 간부 워크숍을 충북 괴산군 소재 화양동계곡 **펜션에서 하였습니다. 토요일 새벽에는 화양계곡의 충청도 양반길을 산책하였는데 물안개가 많이 피어나는 멋진 계곡이었습니다. 아침 식사 후 직원들과 속리산국립공원의 일부인 도명산에 올랐습니다. 그리 높지 않아 단체로 산행하기는 좋은 산이었고, 화양동 계곡의 볼거리도 많았습니다. 가족과 함께 하루 머물며 쉬기에는 적당한 장소란 느낌이었습니다. ○ 산행기록 ▷ 속리산화양동캠핑장(08:25)-2.5Km-능운대(09:02)-2Km-도명산(10:14)-1.6Km-학소대(11:37)-1Km-능운대(11:53) 2014. 9. 22.
월악산 영봉(2008.10.3일) 산행 안내지도(출처 : 국제신문) 들머리 송계휴계소 앞 산신각 계속되는 급경사 해발 840m 능선에 도착 950m 송계삼거리 송계삼거리에서 식사 송계삼거리에서 식사 송계삼거리에서 식사 까마득한 절벽위 영봉 영봉주변 거대한 암벽 영봉 밑 980m 지점 영봉 주변 암벽 영봉 아래에서 올려다 본 영봉 2008. 10. 4.
2007.3.3일 - 부경산악회 속리산 법주사 2008. 3. 7.
2007.3.3일 - 부경산악회 속리산 2008.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