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리아둘레길/서해랑길(완보)

서해랑길 100코스 강화 전등사, 대한성공회 성안드레성당 (2024.11.27일)

by 요다애비 2024. 11. 29.

서해랑길 100코스를 걷다 보면 인근에 전등사와 대한성공회 성안드레성당을 만나게 됩니다

눈 오는 아침 7시 40분경에 전등사에 도착하여 설경에 묻힌 전등사를 둘러봤습니다.

2022년 3월에 와 보았던 전등사와 비교하면 경내의 건물들은 똑같으나 주변 풍경은 완전히 다릅니다. 

눈에 덮인 전등사를 볼 수 있어서 감사할 뿐입니다.

서해랑길을 계속 걸어야 했기 때문에 비록 짧은 시간에 머물렀지만, 아름다운 관경은 계속 뇌리에 남아 있을 것 갑습니다.

 

 

▼ 전등사 남문으로 오르면 보이는 소나무 군락지

 

 

 

▼ 흰 눈을 이고 있는 장독

 

 

 

▼ 강화군 관광안내도

 

 

 

▼ 서해랑길 100코스 안내 나무패널

 

 

 

▼ 전등사 남문 송해루

 

 

 

강화 삼랑성(남문 방면) | 江華 三郎城
강화 삼랑성은 일명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한다. 성을 쌓은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단군이 세 아들에게 성을 쌓게 하고 이름을 삼랑성이라 했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남아 있다. 성안에는 삼국 시대에 창건된 전등사가 있다. 고려 시대에는 임시로 지은 궁궐인 가궐假關이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정족산 사고와 왕실의 족보를 보관하는 선원보각이 있었다. 이곳은 조선 고종 3년 1866에 프랑스 군대가 침공한 병인양요 때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군대가 동문과 남문으로 공격해 오던 160여 명의 프랑스군을 무찌른 곳으로 유명하며, 동문 안에는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양헌수승전비가 있다.
삼랑성은 강화산성과 더불어 고려-조선시대에 수도 개경과 한양의 외곽을 방어하는 매우 중요한 장소였다. 강화 삼랑성은 유구한 역사를 가진 곳으로, 예로부터 신성한 곳이라는 인식이 있었다.

 

 

 

전등사의 출입구는 두 군데에 있다. 전등사 사거리 쪽에서 주차장으로 진입하자마자 나오는 출입구가 동문이고 동문에서 약 500미터쯤 남쪽으로 진행하면 남문 주차장이 있다. 본래 삼랑성(정족산성)에는 동서남북 네 개의 문이 있었으나 지금은 동문과 남문만 이용된다. 이 가운데 문루(門樓)가 있는 곳은 남문이 유일하며 남문의 문루를 ‘종해루’라 부른다. 이 종해루를 지나 50미터쯤 올라 좌측을 보면 전등사 역대 조사들의 부도가 세워진 부도전이 보인다.

 

 

▼ 

 

 

▼ 화장실이지만 주변풍경과 어울려 멋지네요...

 

 

 

▼ 경내를 올라갑니다...

 

 

 

▼ 종해루를 뒤돌아보고...

 

 

 

▼ 스님들이 제설작업에 한참이시네요... 지나가려니 좀 미안합니다.

 

 

 

▼ 수령 약 700년의 은행나무 보호수

 

 

 

▼ 올라왔던 길을 내려다보고...

 

 

 

▼ 주변에 보호수들이 많이 보입니다...

 

 

 

▼ 눈이 많이 내려서 주변이 흐리게 보입니다.

 

 

 

▼ 전등사 대조루 편액

전등사의 남동쪽으로는 멀찌감치 강화해협이 내려다보인다. 강화해협은 일명 ‘염하’라고도 부르는데 이 염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 전등사 대조루이다.
전등사의 남문이나 동문으로 올라와 두 길이 합치는 지점에 이르면 2층 건물이 보이고 1층 이마에는 ‘전등사’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이 건물이 바로 전등사의 불이문 구실을 하는 대조루이다.
지금의 대조루는 1932년에 중건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건물 자체가 주변 경관과 잘 어울리며 전등사의 여러 건물 중에서도 아주 소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대조루에서 대웅전을 바라볼 때의 시선은 25도쯤 위쪽으로 향하게 된다. 대웅전의 석가모니불을 가장 존경하는 시선으로 보게 하는 각도로, 이런 부분까지 섬세하게 고려해 지어진 건물이 대조루이다.
대조루에는 1726년 영조 임금이 직접 전등사를 방문해서 썼다는 ‘취향당’이라는 편액을 비롯해 추사가 쓴 ‘다로경권’ 등 많은 편액이 보관되어 있다.
본래 대조루는 기도를 하거나 법회를 열던 공간이었으나 지금은 불교 서적과 기념품 등을 파는 곳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천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어 있는 건물이다.

 

 

 

 종루

전등사에는 보물 제393호로 지정된 전등사 범종과 근래에 만들어진 범종 등 두 개의 종이 있다. 이 두 범종을 보관하기 위해 종각과 종루로 이름을 달리하여 두 개의 범종각을 세웠다.
현재 대조루 옆의 종루에는 보물로 지정된 범종이 있었으나 2004년에 명부전 앞의 종각으로 옮기고 지금은 일반 범종이 보관돼 있으며 조석 예불 때 사용된다.

 

 

 

종루와 대조루

 

 

 

적묵당(종무소)

적묵당은 스님들이 참선하던 선원이었다. 지금은 스님들의 숙소와 종무소로 사용되고 있다.

 

 

 

감나무... 처음엔 작은 연등이 걸려있는 줄 알았습니다... 자세히 보니 감이더군요...

 

 

 

명부전 

약사전 옆의 서남쪽에 세워진 명부전도 정확한 창건 연대는 밝혀지지 않는다.
명부전에는 지장보살상을 비롯해, 시왕·귀왕 등 모두 29 존상이 모셔져 있다. 대개 명부전은 지장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죽은 이를 재판하는 시왕이 있는 곳은 명부전, 지장보살을 모셨을 경우에는 지장전이라고 부른다. 이 전각은 죽은 사람들이 49일이 지나 재판을 받을 때까지 그들의 넋을 위해 치성을 드리는 곳이다.
지장보살은 모든 중생이 극락을 가기 전까지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노라는 원을 세운 보살이다. 그래서 지장보살은 녹색의 머리를 깎고 주장자를 짚은 채 지옥문 앞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처럼 명부전에는 부처님 원력으로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제사의 공덕으로 극락을 가라는 정성 어린 마음이 담겨 있다.

 

 

 

 약사전

보물 제179호로 지정된 약사전은 대웅보전 서쪽에 위치하는 건물로 대웅보전과 거의 같은 양식의 건물이다.
조선 중기 다포계열의 정면 3칸, 측면 3칸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장대석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약한 배흘림이 있는 기둥을 설치하였으며, 정면 각 기둥 위에는 공포를 배열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공간포(기둥과 기둥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포)를 설치하였다.
내부 천장은 중앙 부분에 우물천장을 두고 주위에는 빗천장을 만들었으며, 거기에 돌아가면서 화려한 연화당초문을 그려 놓았다. 대웅보전과 함께 지붕을 수리했다는 기록 말고는 다른 기록이 없어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건물의 겉모습이나 내부 장식도 대웅보전과 비슷하다.
고려 말기나 조선 초기에 석조로 조성한 약사여래상을 모시고 있다. 이 약사여래불은 최근 금박으로 개금 되어 있다.

 

 

 

약사전과 관음전

관음전

관음전은 자비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는 관세음보살을 주불(主佛)로 모시는 전각으로, 신도들의 수행정진과 기도에 도움이 되는 공간이다.

 

 

 

 대웅보전

보물 제178호로 지정된 대웅보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으로 손꼽힌다. 특히, 건물 내부 불단 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하고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보마다 용틀임으로 장식되면서 용두가 네 귀퉁이에서 돌출해 나오며 천장 주변으로는 연, 모란, 당초가 화려하게 양각되고 중앙 우물 반자 안에는 보상화문이 가득 채워져 있다.
더욱 희귀한 것은 물고기를 천장에 양각해 놓아 마치 용궁인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닫집 왼쪽 천장에는 양쪽에 용두장식을 하고 몸체에 용틀임을 한 작은 용가(龍架)의 배 부분에 아홉 개의 방울을 달아 놓고 끈을 달아 불단까지 늘여놓아 이를 잡아 흔들면 아홉 개의 방울이 동시에 울어 구룡토음의 장관을 이루게 했던 적도 있었다.
내부에 있는 유물로는 석가여래 삼존과 1880년에 그린 후불탱화, 1544년 정수사에서 개판한 <법화경> 목판 104매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의 건물은 1621년(광해군 13)에 지은 정면 3칸, 측면 3칸 형식의 목조 건물이다. 정면 3칸은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같은 길이로 나누어 빗살문을 단 형식이다. 좌우 옆면은 벽이나 앞 1칸에만 외짝으로 문이 있다. 기둥은 대체로 굵은 편이며 모퉁이 기둥은 높이를 약간 높여서 처마 끝이 들리도록 했다.
대웅보전의 외관상 특징은 우선 비슷한 시기의 다른 건물에 비해 약간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곡선이 심한 지붕과 화려한 장식(나부상, 동물 조각, 연꽃 조각 등)이 그런 특징을 잘 보여 준다.

 

 

 

▼ 경내를 둘러보며...

 

 

 

▼ 대조루

 

 

 

▼ 대조루 옆 수령 280년 단풍나무 보호수

 

 

 

▼ 강설당

 

 

 

▼ 선불장

 

 

 

▼ 동문으로 내려가며...

 

 

 

 

▼ 양헌수비

인천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된 양헌수승전비는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을 물리치고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양헌수(1816~1888) 장군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1873년(고종 10)에 건립된 것이다. 이 때는 아직 양헌수 장군이 살아있을 때였지만 대원군이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겪은 뒤 외침을 물리친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해 기념비를 세운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양헌수 장군은 1838년(헌종 4)에 무과에 급제한 이래, 병인양요 때 공을 세워 한성부좌윤으로 특진되었으며 중군을 거쳐 어영대장·금위대장·형조판서·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충장공이며 저서로는 <하거집(荷居集)>이 있다.

 

 

 

▼ 동문

삼랑성(정족산성)에는 본래 동서남북 네 군데에 출입문이 있었다. 그중 지금까지 이용되는 것은 동문과 남문이며 전등사 사거리에서 전등사로 진입할 때 가장 먼저 보이는 문이다. 전등사에는 여느 사찰과는 달리 일주문이나 불이문이 없다. 그 대신 호국의 상징이었던 삼랑성 동문과 남문이 일주문 구실을 하고 있다. 동문 안쪽에는 양헌수 장군의 승전비가 세워져 있다.

 

 

 

▼ 전등각

 

 

 

▼ 동문에서 온수리로 내려오며...

 

 

 

 

▼ 온수리 안내판

 

 

 

 

 

<온수리성공회 성안드레 성당>

 

▼ 전등사를 둘러보고 근처에 있는  온수리성공회  성안드레성당도 둘러보았습니다.

 

 

 

▼ 온수리성당(溫水里聖堂)은 1906년에 건립된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소속의 한옥 성당이다. 2003년 10월 27일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52호 강화 온수리 성공회성당(江華溫水里聖公會聖堂)으로 지정되었다.

성당 주보성인이 성 안드레아라서 성 안드레 성당이라고도 하는데, 성당명이 다른 이유는 안드레아 성인의 옛 번역어가 성 안드레였기 때문이다.

이 교회는 1906년 영국인 주교 조마가(Mark N. Trollope)가 지은 성당 건물로 우리나라의 초기 서양 기독교 교회양식의 건물이다.

성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이며 중앙 1칸을 2층 종루로 삼은 문루와 정면 9칸 측면 3칸의 본당으로 이루어진 건물인데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기법을 활용하여 종교적인 성당건축 방법과 공간 구성을 확립한 동서 절충식 강당형의 목조건물이다.
당시 대한성공회 주교였던 조마가 주교에 의해 정면 3칸, 측면 9칸의 규모의 한옥으로 지어졌다.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되어있고, 용마루 양끝에는 연꽃 모양으로 된 곡선미를 살린 돌십자가가 달려 있다.
한옥성당 옆에는 2004년에 축성된 새 성당이 있다.
성당 옆의 사제관 건물은 2002년 2월 4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 《강화 온수리 성공회 사제관》으로 지정되었다.

 

 

 

 

 

▼ 대한성공회 온수리교회

 

 

 

▼ 성안드레성당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