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권 336

삼랑진 만어사, 여여정사(2010.4.3일)

만어사(萬魚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46년에 가락국(駕洛國)의 김수로왕(金首露王)이 세웠다고 전한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동해 용왕의 아들이 인연이 다하여 낙동강 건너편에 있는 무척산(無隻山)의 신승(神僧)을 찾아가서 새로이 살 곳을 물어보니 "가다가 멈추는 곳이 인연의 터다"라고 했다. 이에 왕자가 길을 떠나니 수많은 고기떼가 그의 뒤를 따랐는데 이곳에 와 쉬니 용왕의 아들은 큰 미륵바위로 변하고, 수많은 고기떼는 크고 작은 화석으로 변했다고 한다. 현재 미륵전 안에 있는 높이 5m 정도의 뾰족한 자연석은 용왕의 아들이 변한 것이라고 하며, 여기에 아이를 못 갖는 여인이 기원을 하면 득남할 수 있다고 전한다. 미륵전 아래에 돌무덤이 첩첩이 깔려 있는데, 이것은 ..

경상권/경남 2010.04.04

청도 호거대~범봉~천문지골~운문사 - 2009.7.25일

산행기록 : 버스종점 주차장(07:30) - 등심바위(08:24) - 삼각점(485M)(09:11) - 삼각점(657M)(09:28) - 663M(09:33) - 갈림길(10:49) - 범봉(962M)(11:06) - 딱밭재(11:26) - 계곡슬랩암반(12:06) - 문수선원(14:07) - 운문사(14:19) -주차장(14:47) 운문사[雲門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560년(신라 진흥왕 21)에 신승(神僧)이 창건한 절로 608년(진평왕 30)에는 원광법사가 이곳에 머물면서 크게 중창했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유사〉 권4 원광서학(圓光西學) 및 보양이목조(寶壤梨木條)에 원광법사와 운문사는 관련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적기 寺蹟記〉에 따르면 고려시대인 937년(태조 ..

경상권/경북 2009.07.25

대구 팔공산-2009.7.4일

산행기록 : 동화사주차장(07:15) - 동화사(07:25) - 부도암(08:00) - 양진암(08:15) - 염불암(09:20) - 동봉(10:05) - 약사여래입상(10:30) - 마애여래좌상(10:45) - 오도재(10:54) - 서봉(11:04) - 오도재(11:30) - 수태골(11:42) - 수태골휴게소(12:44) - 동화사(13:16) 동화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의 본사이다. 신라와 고려시대를 통해 대가람이었으며 금산사, 법주사와 함께 법상종 3대 사찰의 하나이다. 〈동화사사적기〉에 따르면 493년(신라 소지왕 15)에 극달화상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부르다가, 832년(흥덕왕 7)에 심지왕사가 중창했는데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꽃이 상서롭게 피어 있어 동화사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경상권/경북 2009.07.04

가지산~상운산(2009.6.6일)

산행기록 : 석남사 주차장(07:30) - 795M 이정표(08:25) - 간이매점(08:35) - 중봉(09:20) - 가지산(1240m)(09:40) - 쌀바위(10:20) - 대피소(10:40) - 상운산(1114m)(11:00) - 귀바위(11:15) - 석남사(12:10) 석남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824년(헌덕왕 16) 우리나라에 최초로 선(禪)을 도입한 도의선사(道義禪師)가 창건했다. 1716년(숙종 42) 추연(秋演)이 쓴 사적기에 의하면 화관보탑(華觀寶塔)과 각로자탑(覺路慈塔)의 아름다움이 영남 제일이라고 하여 석남사(碩南寺)라 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74년(현종 15) 언양현감 강옹(姜翁)이 사재를 내어 탁령(卓靈)·자운(..

밀양 향로산~옥류동천(2009.5.23일)

산행기록 : 07:45(표충사 입구 도착)~08:20(겨우 초입 발견)~09:20(740m 고개)~09:52(향로산)~10:35(칡 밭)~11:25(작전도로 잘못 하산)~12:10(층층폭포 이정표)~12:32(고사리분교터)~12:45(층층폭포)~13:23(흑룡폭포)~14:10(표충사)~14:40(사자평 명물식당) (표충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사기(寺記)에 의하면 654년(무열왕 1)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죽림사(竹林寺)라 했으며, 829년(흥덕왕 4) 인도의 고승인 황면(黃面)선사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할 곳을 동방에서 찾다가 황록산 남쪽에 오색서운이 감도는 것을 발견하고는 3층석탑을 세워 사리를 봉안하고 절을 중창했다고 한다. 이때 흥덕왕의 아들이 나병에 걸려 전국..

밀양 백마산(2009.5.9일)

밀양 단장면 고례리 평리 복지회관(07:30분)~오선암~바드리마을~여래사~백마 정사~잇단 너덜~지능선~잇단 전망대~정상(772m)~전망대~백마산 성터 ~사거리재~풍류동~정토사 입구~평리 복지회관으로 원점회귀 (사진기에 메모리를 장착하지 않아 촬영 못하였으며, 2004.08.26일 국제신문 산행기로 대신함) 신불산 공원묘지와 아름다운 밀양댐을 지나 만나는 첫 마을은 단장리 고례리 평리마을. 마을 어귀에 위치한 평리 복지회관을 끼고 왼쪽으로 30m 정도 가면 마을 당산나무. 도랑을 따라 오르면 조그만 암자 오선암. 입구에 연등이 걸려 있다. 갈림길이 나오면 오른쪽으로 간다. 작은 동산으로 올라가는 기분이다. 빨간 고추와 탐스럽게 익어가는 호박이 가을을 재촉하고 소리 높여 울어대는 매미의 합창은 가는 여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