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78

충주호(청풍나루~장회나루) 관광선 관광(2019.9.8일) 청풍호(충주호)는 충주시, 제천시, 단양군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이다. 청풍호는 우리나라에서 소양호 다음으로 담수량이 두 번째로 많은 곳으로 주변 풍광이 뛰어나고, 풍부한 수량과 심한 굴곡, 경사로 인해 많은 민물고기가 사는 곳이다. 청풍호 유람선을 타면 단양팔경 중 2 경인 옥순봉과 구담봉의 절경을 볼 수 있다. 2019. 9. 11.
수몰지역의 각종 문화재가 모여있는 청풍문화재단지(2019.9.8일) 1978년부터 시작된 충주 다목적 댐의 건설로 제천시의 청풍면을 중심으로 한 5개면 61개 부락과 충주시 일부가 수몰되자, 이곳에 있던 각종 문화재들을 한 곳에 모아 문화재단지를 조성했다. 이곳에는 선사시대의 고인돌·선돌 등의 거석 문화재와 민가·향교·관아 등을 나누어 복원·배치했으며, 고가(古家) 내에는 생활유품 1,600여 점을 옛 풍속대로 전시해놓았다. 중요한 문화재로는 청풍한벽루(보물 제528호)·청풍 석조여래입상(보물 제546호)·금남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호)·금병헌(錦屛軒: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4호)·응청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0호)·팔영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5호)·후산리 고가(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5호)·수산 지곡리고가(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9호)·도화리 고가(충청북도 .. 2019. 9. 11.
국내 최대 규모의 천태종 구인사(2019.9.7일) 구인사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백자리 소백산록에 있다. 이 지역은 소백산 구봉팔문 중 제4봉인 수리봉 밑 해발 600여 m의 고지에 위치해 있는데, 풍수사상으로 제7 금계포란형이라고 한다. 천태종의 개조인 상월조사가 1946년 이곳에 자리를 잡았다. 경내에는 초암이 있던 자리에 900평의 대법당, 135평의 목조강당인 광명당, 사천왕문과 국내 최대의 청동사천왕상 등이 있다. 지금은 50여 동의 건물이 세워져 있는데, 일시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5만 6,000명이며, 총공사비 122억 원이 소요된 국내 최대 규모의 사찰이다. 이 절은 특히 치병에 영험이 있다고 하여 매일같이 수백 명의 신도들이 찾아와 관음기도를 드리는 곳으로 유명하다. - 출처 : 다음백과에서 일부 발췌하였음 - 2019. 9. 11.
방랑시인 난고 김삿갓(김병연) 묘(2019.9.7일) 김삿갓은 안동 김씨의 시조인 고려 개국공신 '선평'의 후예로 순조 7년(1807년) 3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에서 부 '안근'과 모 '함평 이씨' 사이에서 이남으로 출생하였고, 본명은 '병연'이고 호는 '난고'이다. 순조 11년(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을 때, 당시 선천부사였던 그의 조부 김익순이 홍경래에게 항복하였다. 이에 역적으로 몰려 폐족처분을 받아 가족이 영월로 옮겨와 은둔생활을 하였다. 이러한 생활속에서도 모친 함평 이씨는 자식들에게 조부의 사연을 숨긴 채 글을 가르쳤으며, 김삿갓이 20세 되던 해 영월 동헌에서 개최되었던 백일장에 응시하여 선천부사 김익순을 비판하는 글로 장원이 되었다. 그 후 김익순이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자책과 통한을 이기지 못해 22세에 집을 나.. 2019. 9. 11.
슬픔을 간직한 단종의 유배지 청령포(2019.9.7일) 영월 청령포는 어린 나이에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의 유배지로 서쪽은 육봉의 험준한 암벽이 솟아 있고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섬과 같이 형성된 곳으로 한양을 바라보며 시름에 잠겼다고 전하는 노산대, 망향탑 돌무더기 등 슬픈 역사가 남아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천연기념물인 ‘관음송’을 비롯하여 단종의 어가 주변에 조성된 크고 오래된 소나무림이 270° 돌아 흐르는 서강과 어우러져 자연경관이 뛰어난 명승지이다. 원래는 영월군에서 관리하였으나 2009년 명승지로 지정되면서 문화재청으로 이관되어서 문화재청 장릉관리소에서 겸임 관리를 하고 있다. 산림청 공인 지정 천년의 숲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9. 9. 11.
영월에 묻힌 단종의 묘, 장릉(2019.9.7일) 장릉은 사적 제196호로,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4리에 있다. 단종이 세조의 왕위찬탈로 1457년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상왕복위 계획이 탄로 되어 죽음을 당하자 영월호장 엄흥도가 비밀리에 장례를 치렀다. 선조 때 김성일(金誠一)·정철 등의 장계로 묘역을 수축하고 표석을 세웠다. 1610년(광해군 2) 노릉암이라 했으며 1668년(현종 9)에 수호하는 참봉 2명을 두었다. 1681년(숙종 7) 대군으로 추봉 되었으며 1698년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 능호를 장릉이라 했다. 상설은 추봉 된 정릉의 예에 따라 난간과 무석을 설하지 않았고, 양식은 간단하게 작은 후릉 석물의 것을 따랐다. 따라서 장릉의 석물은 숙종·영조 연간에 만들어진 왜소하면서도 간단한 능석물의 선구를 이루는 것이며, 명.. 2019. 9. 11.
한반도를 닮은 선암마을 한반도지형 전망대(2019.9.7일) 선암마을은 강원도 영월군 서면 옹정리 서강(西江) 변에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이다. 마을 앞에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 땅, 한반도를 꼭 빼닮은 절벽지역인 한반도 지형이 있다. 평창강이 주천강과 합쳐지기 전에 크게 휘돌아 치면서 동고서저 경사까지 더해 한반도를 닮은 특이한 구조의 절벽지역을 만들어냈다. 오간재 전망대에서 남산재 방향을 바라보면, 한반도를 빼닮은 절벽지역을 내려다볼 수 있다. 절벽지역은 동쪽으로 한반도의 백두대간을 연상시키는 산맥이 길게 이어져 있고 서쪽에는 서해처럼 넓은 모래사장도 있으며, 동쪽으로는 울릉도와 독도를 닮은 듯한 작은 바위도 있다. 2019. 9. 11.
수려한 경치와 역사가 있는 요선정, 요선암(2019.9.7일) 요선정은 수주면 무릉리에 있는 정자로, 숙종, 영조, 정조 세 임금이 써준 御製詩(어제시)를 봉안하기 위하여 1913년에 세운 정자이다 요선정은 통일신라시대 철감국사 도윤과 징효대사가 이곳에 와서 포교를 하던 곳으로 그 당시 작은 암자가 있던 곳이라 한다. 징효대사가 이곳에서 열반했을 때에는 1천여 개의 사리가 나왔다는 불교와 인연이 깊은 곳이다. 지금도 정자 주변에는 마애여래좌상과 작은 석탑 1기가 남아있다. 요선정에 봉안된 어제어필시문(御製御筆詩文)은 두 틀 板額(판액)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에는 숙종어제시와 영조어제시를 담았고, 다른 한쪽에는 정조대왕의 친필 서문과 어제 시를 담고 있다. 요선정 앞에는 치악산에서 흐른 물이 법흥천과 합류하여 계곡을 형성하고, 깊은 물이 흐르는 강.. 2019. 9. 11.
5대 적멸보궁의 하나인 영월 법흥사(2019.9.7일)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며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寂滅寶宮) 중의 한 곳이다. 신라 때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당나라 청량산에서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眞身舍利)와 가사(袈裟)를 전수받아 643년에 귀국하였다. 그 뒤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태백산 정암사(淨岩寺), 영축산 통도사(通度寺), 설악산 봉정암(鳳頂庵) 등에 사리를 봉안하고 마지막으로 이 절을 창건하여 진신사리를 봉안하였으며, 사찰 이름을 흥녕사(興寧寺)라 하였다. 1902년에 비구니 대원각(大圓覺)이 몽감(夢感)에 의하여 중건하고 법흥사로 개칭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적멸보궁을 비롯하여 대웅전·무설전(無說殿)·요사채 겸 공양실인 심우장(尋牛莊)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적멸보궁은 1939년에 중수하였으며, 법당 안에는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있다.. 2019. 9. 11.
금강산 만물상 닮은 금월봉과 역사깊은 의림지(2019.9.7일) 금월봉은 1993년 아시아시멘트 영월공장에서 시멘트 제조용 점토 채취장으로 사용했던 곳으로, 시멘트 제조용 점토를 채취하던 중 땅속에 있던 기암괴석 무리가 발견되었는데 모양이 금강산 만물상을 쏙 빼어 닮아 작은 금강산으로 불리다가 제천시에서 명칭을 공모하여 금월봉[높이 226m]이라 명명하였다. 달리 두꺼비바위라고도 한다. 바라만 보아도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신령스러운 바위산 금월봉은 뛰어난 풍경과 더불어 태조 왕건, 명성황후, 이제마, 장길산 등 TV 및 영화 촬영 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수년에 걸친 작업 끝에 예전의 평범한 야산에서 신과 인간이 공존하는 신령스러운 바위산으로 변모하였다. 의림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저수지 중의 하나로, 충청북도 기념물 제11호이다. 신라 진흥왕 때 우륵이 처음 방죽.. 2019. 9. 11.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인 부석사(2019.9.6일) 대한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 의상대사가 신라 문무왕의 뜻을 받들어 676년에 창건하고 화엄종을 널리 전했다고 알려졌다. 고려시대에는 선달사·흥교사라고 불렀다. 의상 이후 혜철을 비롯하여 무염과 징효 등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다. 1372년 원응국사가 주지로 임명되어 가람을 크게 중창했다. 경내에는 고려시대의 무량수전(국보 제18호)과 조사당(국보 제19호)을 비롯한 조선시대의 건물들이 남아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제17호)·소조불 좌상(국보 제45호)·조사당 벽화(국보 제46호)·3층 석탑(보물 제249호)·당간지주(보물 제255호) 등이 있다.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부석사에는 아름답고 웅장한 배흘림기둥의 무량수전과 이절을 창건한.. 2019. 9. 11.
최초로 유생을 교육한 소수서원(2019.9.6일) 소수서원은 최초로 국학의 제도를 본떠 선현을 제사 지내고 유생들을 교육한 서원이었다. 풍기군수 주세붕이 유학자인 안향의 사묘를 설립한 후 1543년 유생 교육을 위한 백운동서원을 설립한 것이 시초이다. 이후 경상도 관찰사 안현이 서원의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운영 방책을 보완했다. 이 시기의 서원은 사묘의 부속적인 존재로서 과거 공부 위주의 학교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황은 교학을 진흥하고 사풍을 바로잡기 위해서 서원 보급의 중요성을 주장하면서 사액과 국가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1550년 '소수서원'이라는 현판을 하사 받았다. 소수서원은 1868년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에도 존속했다. 사적 제55호로 지정되었으며, 보물 제59호 숙수사지 당간지주·국보 제111호 회헌 영정 등과 141종 563.. 2019. 9. 11.
대표적인 물돌이 마을의 하나인 영주 무섬마을과 외나무다리(2019.9.6일)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에 있는 무섬마을은 안동의 하회마을, 예천의 회룡포, 영월의 선암마을과 청령포와 같이 마을의 3면이 물로 둘러 쌓여 있는 대표적인 물돌이 마을이다.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과 영주천이 합수되어 태백산과 소백산 줄기를 끼고 마을의 삼면을 감싸듯 휘감아 돌아 마치 섬처럼 육지 속의 섬마을로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는 마을이다. 강변에 넓은 백사장이 펼쳐져 있고, 그 건너편으로는 울창한 숲이 있어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나무를 이어 만든 무섬마을 외나무다리는 마을 사람들이 내성천을 건너 뭍의 밭으로 일하러 가기 위해 만든 다리로써, 장마가 지면 다리는 불어난 물에 휩쓸려 떠내려갔고, 마을 사람들은 해마다 다리를 다시 놓았다. 현재의 외나무다리는 지난 350여 년간 마을.. 2019. 9. 11.
가장 한국적이고 자연스러운 봉정사(2019.9.6일) 봉정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고운사의 말사로써 672년(문무왕 12) 의상, 또는 능인대덕이 창건하고 화엄강당을 지어 신림을 비롯한 제자들에게 불법을 전했다고 한다. 6·25 전쟁 때 경전과 사지가 모두 소실되어 창건 이후의 역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인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대웅전(국보 제311호)·화엄강당(보물 제448호)·고금당과, 승방인 무량해회·만세루·우화루 등의 당우, 고려시대의 3층 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등이 많은 문화유산이 있다.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의 초청으로 한국을 방문했던 엘리자베스 여왕이 '가장 한국적이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고 싶다'고 해서 방문한 곳이 안동 하회마을과 봉정사였다고 한다. 2018년 6월, 봉정사는 '산사, 한국의.. 2019. 9. 11.
제비원 석불이라 불리는 안동 이천동 석불(2019.9.6일) 안동 이천동 석불상은 속칭 ‘제비원 석불’이라 불리는 마애불의 일종이다. 서쪽을 향한 높은 암벽에 불신을 얕게 새기고 암벽의 위에 불두를 따로 조각하여 올려놓았는데, 머리 뒷부분은 수직으로 잘려나갔다. 얼굴 위의 머리 부분은 소발(素髮) 위로 육계(肉髻)가 크게 솟아나게 만들었는데 얼굴 부분과 또 다른 돌로 만들어 얹었다.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115호로 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국가 소유이며, 안동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2019. 9. 11.
서원 앞 강산이 병풍처럼 둘려진 병산서원(2019.9.6일) 병산서원(사적 제260호)은 1613년(광해군 5)에 창건되었으며 유성룡의 위패를 모셨다. 원래 고려 말기 풍산현에 있던 풍악 서당을 1572년(선조 5)에 유성룡이 이곳으로 옮긴 것이다. 1629년 유진을 추가 배향했으며, 1863년(철종 14) 현재의 이름으로 사액받았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남았던 47개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병산서원은 2019년 7월 6일,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16~17세기에 건립된 다른 8개 서원과 함께 오늘날까지 한국에서 교육과 사회적 관습 형태로 지속되어온 성리학과 관련된 문화적 전통의 증거이며 성리학 개념이 여건에 맞게 바뀌는 역사적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한국의 서원(Seow.. 2019. 9. 11.
민족적 전통과 건축물이 잘 보존된 하회마을(2019.9.6일) 하회마을은 민속적 전통과 건축물을 잘 보존한 풍산 류 씨(柳氏)의 집성촌으로 1984년 중요 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경북 양동 마을과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마을의 전통 건축물과 주거 문화는 조선 시대의 사회 구조와 독특한 유교적 양반 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된다. 특히 하회 마을은 오랜 세월 동안 같은 성씨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독특한 문화를 이어 온 독특한 곳이다. 나지막한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낙동강이 마을을 휘감아 흐르는 독특한 지형을 갖고 있다. ‘하회(河回)’라는 이름도 낙동강이 마을을 휘감아 흐른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풍수지리학적으로 길지라고 전해지고 있다. 2019. 9. 11.
국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의 하나인 전주 전동성당(2019.9.1일) 경기전과 전동성당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형태입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건물인 경기전과 세월의 중후한 멋을 내는 전동성당이 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어 인상적이었습니다 * 천주교 최초 순교자의 恨 맺힌 사형터 * 전주 전동성당은 사적 제288호로 조선시대 천주교도의 순교터에 세워졌다. 이 건물은 천주교 신자들을 사형했던 전라북도 전주시 전동 풍남문(豊南門) 밖에 지어진 성당이다. 조선시대의 전주는 전라감영이 있었으므로 천주교회사에서 전동은 자연히 순교지의 하나가 됐다. 정조 15년(1791)에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바오로)과 권상연(야고보), 순조 원년(1801)에 호남 첫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윤지헌(프란치스코) 등이 이곳에서 박해.. 2019. 9. 2.
태조의 어진이 모셔져 있는 전주 경기전(2019.9.1일) 전주 한옥마을을 둘러보다가 주변에 위치해 있는 경기전을 둘러보았습니다. 경기전은 태조의 어진이 모셔진 곳으로 넓진 않지만 볼거리가 많았습니다. 사적 제339호. 지정면적 4만 9,527.4㎡. 1410년(태종 10) 어용전(御容殿)이라는 이름으로 완산·계림·평양 등 세 곳에 창건하여 부왕인 태조의 어진(御眞)을 모셨다. 1442년(세종 24)에는 그 소재지마다 이름을 달리하여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集慶殿), 평양은 영종전이라 불렀다. 경기전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14년(광해군 6)에 중건하였다. 건물의 구성은 본전, 본전 가운데에서 달아낸 헌(軒), 본전 양 옆 익랑(翼廊)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두르고 있는 내삼문.. 2019. 9. 2.
젊은이의 핫플레이스 전주 한옥마을(2019.9.1일) 2019.9.1일, 우연찮은 일로 전주에 잠깐 갔습니다. 짬을 내어 평소에 가고 싶었던 전주 한옥마을과 경기전 그리고 전동성당을 둘러보았습니다. 한옥마을 공용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한꺼번에 세 곳을 둘러볼 수 있어 접근성이 아주 좋았습니다. 주말 오후여서 한복을 입은 젊은이와 가족들이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 그리고 도로변의 한옥은 대부분이 카페나 상점들로 즐비하였습니다. 2019. 9. 2.
해파랑길 20코스 [영덕] 강구항 ~ 해맞이공원 (2019.8.30일) 지난 7월 3일 이후 더위로 멈췄던 해파랑길을 다시 이어 걷기 위해 강구항을 찾았습니다. 해파랑길 20코스는 해안가가 아닌 숲길을 걷게 되는 코스인데 한낮의 햇빛은 아직 따갑지만, 숲길을 걷게 되어 그늘에서는 시원한 바람도 불었습니다. 강구항에서 고불봉까지는 고도는 낮지만 오르내림이 많은 산길이었으며, 고불봉 이후에는 주로 임도를 걷게 되고 영덕풍력단지도 볼 만하였습니다. 날머리인 영덕 해맞이공원에서 영덕 터미널 가기는 불편하므로 부득이 택시를 이용하여야 했습니다. 강구항~(8.0km)~고불봉~(8.3km)~신재생에너지전시관~(2.5km)~영덕해맞이공원 : 18.8Km 해파랑길과 영덕블루로드는 동일한 코스로 해파랑길 20코스는 영덕블루로드 A코스에 해당된다. 등산로의 경사가 높지 않아 크게 부담되는 코스.. 2019. 8. 31.